✅ 핵심포인트
2025년 5월 16일 기준 미국 증시는
트럼프 관세 완화 기대감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발표에도 불구하고
S&P500은 주간 기준 5% 이상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1. 미국 증시 2025년 5월 16일 마감 요약
– 왜 올랐고 왜 떨어졌나?
2025년 5월 16일 금요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완화 시사와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에 힘입어 강세 마감했습니다.
S&P500 지수는 5 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올해 두 번째로 강한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정규장 마감 이후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는
뉴스가 전해지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는 낙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상승 요인
트럼프 관세 완화 시사
트럼프 대통령은 “향후 2~3주 내에 관세율 설정”
발언을 하며 시장에 낙관 신호를 던졌습니다.
미국·EU 간 무역 협상 타결 기대
파이낸셜 타임스는 “양국이 돌파구를 마련했다”라고 보도하며,
글로벌 공급망 우려를 완화시켰습니다.
🔹 하락 요인 (정규장 이후)
무디스 신용등급 강등 발표
무디스는 “미국의 구조적 재정 적자가 지속되며
부채 수준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어
신용등급을 Aaa → Aa1로 강등했습니다.
2. 미국 주요 자산 가격 및 경제 지표 정리
(2025년 5월 16일 기준)
📊 미국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지수 | 등락률 | 종가 |
S&P 500 | ▲ 0.70% | 5,958.38 |
다우존스 | ▲ 0.78% | 42,654.74 |
나스닥100 | ▲ 0.43% | 21,427.94 |
러셀2000 | ▲ 0.89% | 2,113.25 |
→ S&P500은 주간 기준 5% 이상 상승, 전반적 위험자산 선호 증가 확인.
💵 채권 및 환율
자산 | 수익률 | 변동 |
美 2년 국채 | 3.993% | ▲ (3.954%) |
美 10년 국채 | 4.445% | ▲ (4.431%) |
달러 인덱스 | 100.954 | ▲ (100.788) |
→ 국채 수익률 상승, 신용등급 강등 리스크 반영 시작.
🛢 금/에너지/원자재
자산 | 가격 | 변동 |
금(Gold) | 3,205.30 | ▼ (3,243.90) |
WTI | 62.49 | ▲ (61.69) |
천연가스 | 3.325 | ▼ (3.366) |
→ 인플레이션 해소 기대감에 따라 금 가격 하락, 에너지 수요 기대감은 상승 반영.
📈 경제 지표 요약
시간 | 지표 | 결과 | 예상치 | 이전치 |
21:30 | 주택착공건수 | 1361K | 1364K | 1339K |
21:30 | 건축허가건수 | 1412K | 1450K | 1481K |
21:30 | 수입물가지수 | 0.1% ▲ | -0.3% | -0.4% |
23:00 |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 | 50.8 ▼ | 53.5 | 52.2 |
23:00 | 기대 인플레이션 | 7.3% ▲ | 6.5% | 6.5% |
02:00 | 시추기 수 | 576 ▼ | - | 578 |
3. 시장 해석과 투자자 심리 – 무엇을 주의해야 하나?
📌 전문가 코멘트 요약
린지 벨 (클리어노믹스):
“금요일 상승은 무역 갈등 완화 덕분이다. 위기 벗어난 건 아니지만 분위기는 낙관적.”
루이스 나벨리에 (나벨리에 앤드 어소시에이츠):
“관세 우려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탄탄한 한 주였다.”
이반 파인세스 (타이그레스 파이낸셜):
“무역 이슈가 경기 침체 우려를 덮었다. 투자 심리는 다시 위험자산으로 기울고 있다.”
📌 투자자 주의점
시간 외 무디스 발표로 다음 주 단기 조정 가능성
관세 협상 발표 내용이 구체화될 때까지 낙관론 경계 필요
소비자 심리와 인플레이션 지표의 상반된 흐름에 주목
🔗 참고 링크
Moody's - credit ratings, research, and data for global capital markets
For over 100 years, Moody’s has assigned sovereign credit ratings based on rigorous research and time-tested methodologies – each one an objective, independent, and non-partisan analysis.
www.moodys.com
Surveys of Consumers
Results for March 2025 The Index of Consumer Sentiment 57 Current Economic Conditions 63.8 Index of Consumer Expectations 52.6
data.sca.isr.umich.edu
Home
The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in Washington DC.
www.federalreserve.gov
Homepage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Electricity Sales, revenue and prices, power plants, fuel use, stocks, generation, trade, demand & emissions.
www.eia.gov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5500
www.businesspost.co.kr
✅ 마무리 요약
2025년 5월 16일, 미국 증시는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이며
올해 들어 두 번째로 강한 한 주를 마감했습니다.
하지만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이라는 새로운 리스크가 발생했고,
다음 주 시장은 지표보다 심리 변화에 따라 출렁일 가능성이 큽니다.
✅ 투자자들은 단기 낙관에 경계하며,
정책 발표 흐름 +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중심으로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콘텐츠는 특정 금융기관, 증권사, 자산운용사와 무관하며,
광고 또는 협찬 없이 순수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글의 기준일은 2025년 5월 17일이며, 데이터는 모두 공식 경제기관 및
신뢰 가능한 언론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경제 > 미국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증시] 2025년 5월 15일 (목) (17) | 2025.05.16 |
---|---|
[미증시]2025년 5월 14일 – 인플레이션 완화 속 기술주 상승세 (29) | 2025.05.15 |
[미증시] 2025년 05월 13일 (화) (24) | 2025.05.14 |
[미증시] 2025년 05월 12일 (월) (23) | 2025.05.13 |
[미증시 속보] 2025년 5월 12일 (월) (11) | 2025.05.12 |